개요* 행복학교 평가를 통한 종단 자료의 축적과 보다 장기적인 행복학교 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며, 행복학교의 가치 및 철학의 일반화 및 확산을 위한 종단연구적 조사연구가 필요함.
Ⅰ. 연구 개요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1
3. 연구 방법 3
Ⅱ. 행복(나눔)학교 학교만족도 설문 결과
1. 행복(나눔)학교와 일반학교의 설문 결과 비교 11
2. 구성원별 학교만족도 설문 분석 결과 18
3. 행복학교별 학교만족도 설문 분석 결과 48
4. 행복학교 배경변인별 학교만족도 관련 차이분석 76
5. 행복학교 지역별 학교만족도(대상별) 93
6. 학교만족도에 대한 하위 영역별 영향 100
Ⅲ. 행복나눔학교 졸업생 추수 조사 결과
1. 행복나눔학교 졸업생 추수 설문 결과 분석 101
2. 행복나눔학교(고등학교) 졸업생 추수 면담 결과 분석 113
Ⅳ. 행복학교 10년 설문조사 종단 분석
1. 행복(나눔)학교와 일반학교 간 연도별 설문 결과 비교(전체) 118
2. 행복(나눔)학교와 일반학교 간 연도별 설문 결과 비교(영역별) 124
Ⅴ. 정책적 제언 142
부록 144
*설문 대상: 행복(나눔)학교 148개교, 일반학교 121개교
*설문 조사 방식: 학교별 온라인 설문(단, 초등학생은 오프라인 종이설문)
*설문 조사 기간 : 2024. 9.2(월) - 9.13(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