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정보
-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4
전체
- 글쓰기는 기관(학교)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해야 하며, 아이디에 대한 문의는 해당 학교 행정실 및 기관 전산담당 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도자료 게시 방법 : 파일 내려받기
- 보도자료 게시 방법에 따르지 않은 게시물은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교육지원청(소속기관) 창원교육지원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사 연수 실시
- 기관명(부서) 교육지원국 학교통합지원센터
- 등록일시 2025-08-26
창원교육지원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사 연수 실시
- 경제 프로그램 연계를 위한 23개 학교 교육복지사 연수 진행 -
지난 8월 14일(목),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교육장 황흔귀)은 창원관내 23명 교육복지사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와 연계해 경제 프로그램 연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수는 학교 교육복지사대상으로 창원 관내 경제교육이 필요한 취약계층 학생에게 경제 교육의 기회를 주고자 마련되었다.
학교 교육복지사들은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방문해 경제 교육 필요성과 경제 교육 진행 방법, 향후 연계 방안을 논의하였다.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은 단순한 이론 전달을 넘어 실생활 밀착형 교육으로 △화폐 교육 △저축 습관 형성 등을 주제로 체험형 수업을 진행되었다. 특히,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진행한 체험형 수업은 은행원 직업체험, 통장 개설, 금고 등 실제 은행 모습을 구현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연수에 참여한 학교 교육복지사는 “학생들이 어렵게만 느꼈던 경제를 게임을 통해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직접 기록하거나 통장개설 등 체험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거 같다며, 향후 경제 교육이 필요한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경희 학교통합지원센터장은 “이번 연수를 통해 학교복지사들이 근무하는 관내 학교의 필요한 학생들에게 미래세대의 금융 문해력 향상은 물론 가정에서 건전한 경제문화가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교육복지사 연수에서 그치지 않고 각 학교에 경제 교육이 필요한 대상자를 발굴하고, 경제교육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는 창원관내 취약계층 학생들의 꿈을 현실로 이끄는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이처럼 창원교육지원청은 지역사회 기관 연계를 통해 교육복지사 업무 역량 증진 및 촘촘한 학생 지원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 경제 프로그램 연계를 위한 23개 학교 교육복지사 연수 진행 -
지난 8월 14일(목),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교육장 황흔귀)은 창원관내 23명 교육복지사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와 연계해 경제 프로그램 연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수는 학교 교육복지사대상으로 창원 관내 경제교육이 필요한 취약계층 학생에게 경제 교육의 기회를 주고자 마련되었다.
학교 교육복지사들은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방문해 경제 교육 필요성과 경제 교육 진행 방법, 향후 연계 방안을 논의하였다.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은 단순한 이론 전달을 넘어 실생활 밀착형 교육으로 △화폐 교육 △저축 습관 형성 등을 주제로 체험형 수업을 진행되었다. 특히,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진행한 체험형 수업은 은행원 직업체험, 통장 개설, 금고 등 실제 은행 모습을 구현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연수에 참여한 학교 교육복지사는 “학생들이 어렵게만 느꼈던 경제를 게임을 통해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직접 기록하거나 통장개설 등 체험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거 같다며, 향후 경제 교육이 필요한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경희 학교통합지원센터장은 “이번 연수를 통해 학교복지사들이 근무하는 관내 학교의 필요한 학생들에게 미래세대의 금융 문해력 향상은 물론 가정에서 건전한 경제문화가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교육복지사 연수에서 그치지 않고 각 학교에 경제 교육이 필요한 대상자를 발굴하고, 경제교육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는 창원관내 취약계층 학생들의 꿈을 현실로 이끄는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이처럼 창원교육지원청은 지역사회 기관 연계를 통해 교육복지사 업무 역량 증진 및 촘촘한 학생 지원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