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

  • 글쓰기는 기관(학교)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해야 하며, 아이디에 대한 문의는 해당 학교 행정실 및 기관 전산담당 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도자료 게시 방법 : 파일 내려받기
    • 보도자료 게시 방법에 따르지 않은 게시물은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직속기관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효과성 높아

  • 기관명(부서)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 등록일시 2025-08-25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효과성 높아 - 관련이미지1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효과성 높아

학교 전체적 접근을 위한 교과연계형 생태전환교육 교재개발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수업 실천으로 교육적 효과성 확인
생태전환교육 활성화 기여 및 미래 세대 역량 강화 기대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육정책연구소(소장 황금주)는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교재(중등 지역화 환경교재 “자원순환”)를 협력 학교에 시범 적용하여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수업을 받은 학생 집단이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실천 의지 등에서 긍정적인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경상남도교육청은 2024년 『경상남도교육청 생태전환교육 종합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생태전환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모색해왔고, 교과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생태전환교육 교수·학습 모형 및 교재를 개발했다. 이어 협력 학교에 교재를 제공하고 시범 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생태전환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생태전환교육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고무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교재 적용을 위해 도·농(어) 접점 지역의 중규모 S중학교를 협력 학교로 정하고 1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연계형’ 교재를 교과 수업과 연계하여 6주간 적용하였다(2024.9.2.~10.11.).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 1학년(176명, 적용-실험집단), 2학년(156명, 비적용-통제집단) 각 6개 반에 대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문항은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생물다양성(탄·생) 등에 대한 인식, 생태전환교육의 이해와 태도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기후변화 및 탄·생 인식 변화 분석 결과, 사전 조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평균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조사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①이상 기후 증가', '②인간 활동 기인', '③생명 위기 예상', '④교육 강화 필요', '⑤탄·생 실천 동참' 모든 문항에서 평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내에서도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①, ②, ⑤ 문항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생태전환교육 이해 분석 결과, 사전 조사에서 '①생태 개념 이해', ‘②유사교육 동일성(환경교육, 기후위기대응, 지속가능발전 등), '③인접교육 관계성(인성교육, 민주시민교육 등)', '④탄·생 교육 중심', '⑤생태 관계성(인간과 자연의 공존 등)' 문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평균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에는 실험집단의 평균이 ①, ③, ④, ⑤ 문항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내에서 사전 대비 사후 조사 평균이 ①, ②, ⑤ 문항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1학년)만을 대상으로 한 자기평가에서 생태전환교육 시간과 기회가 늘었다고 인지한 학생 중 82.5%는 생태·환경 인식 및 이해에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다. 인식과 이해에 변화가 있었다고 한 학생은 ‘교과-생태 수업 흥미’(37.0%), '자원순환 실천법 이해'(25.2%)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으며, 변화가 없었다고 한 학생들도 '환경-사물에 새로운 시각 생김'(29.6%), ‘교과-생태 수업 흥미’(25.9%) 순으로 교과-생태전환교육 연계 수업의 소감을 밝혔다.

교육정책연구소 황금주 소장은 “현장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학교 전체적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생태전환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한 효과는 의미있는 성과이며, 그동안 경상남도교육청이 오랫동안 지속하여 추진해 온 생태전환교육을 한층 촉진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앞으로 교과 연계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해생태전환교육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하였다.

※개발 교재는 ‘경상남도교육청미래교육원→주요사업안내→경남교육디지털자료관→교수학습지원센터→중등자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붙임 관련 연구간행물 1부.



보도자료와 관련해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미래교육원 사무관 황금주 ☎570-5600 또는 연구위원 정연홍 ☎570-5607

"출처표시"경상남도교육청이(가) 창작한 교과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효과성 높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