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정보
-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4
전체
- 글쓰기는 기관(학교)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해야 하며, 아이디에 대한 문의는 해당 학교 행정실 및 기관 전산담당 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도자료 게시 방법 : 파일 내려받기
- 보도자료 게시 방법에 따르지 않은 게시물은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 이 게시판의 게시글 공개기한은 게시일로부터 3년입니다
교육지원청(소속기관) 진주 지역 30개 기관의 학생맞춤통합지원 협력으로 복합 위기학생 보호 체계 마련
- 기관명(부서) 학교통합지원센터
- 등록일시 2025-07-09
진주 지역 30개 기관의 학생맞춤통합지원 협력으로 복합 위기학생 보호 체계 마련
-진주교육지원청,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 협의회 개최-
진주교육지원청(교육장 김경규)은 7월 8일(화), 진주교육지원청 3층 대회의실에서 30개 기관 40명이 참여한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 상반기 협의회를 개최했다.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란 진주교육지원청의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과 협력하는 지역 유관 기관의 네트워크 조직을 말한다. 진주시의 아동·청소년 지원 부서,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 진주시 아동보호전문기관, 진주시 가족센터, 진주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사회복지관, 가정·성 관련 상담소, 경남서부해바라기센터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2023년 학생맞춤통합지원 시범 사업 시작 당시 12개 기관이 참여하였고 2025년 현재 30개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지역협의체는 학교에서 발견된 복합위기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청소년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여 아동·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대상자 인원은 2023년 19명, 2024년 21명, 2025년 12명(7월 초)이며 학교, 지원청, 지역기관이 참여하는 통합사례회의는 3년 동안 총 82회가 열렸다. 지원 영역은 기초학력·진로, 심리정서, 안전·돌봄, 경제·복지, 다문화·특수이며 학생 개개인의 어려움 진단에 따라 지원청의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거나 지역 기관의 전문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
이 날 협의회는 ▲참여 기관 소개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소개 ▲복합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지역 협력 사례 소개 ▲학생맞춤통합지원 협력 방안 협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학생맞춤통합지원 법률과 정책 내용을 이해하고, 복합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과 기관별 역할을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진주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안서현 센터장은 “우리 학생들에게는 학습, 정서, 행동, 경제, 취약한지지 체계 등에서 다양한 위기 상황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학교와 지역이 함께 협력해 나갔던 3년의 노력을 계속 해서 이어나가자”고 당부했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상남도 진주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김연희 주무관(☎740-2004)
-진주교육지원청,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 협의회 개최-
진주교육지원청(교육장 김경규)은 7월 8일(화), 진주교육지원청 3층 대회의실에서 30개 기관 40명이 참여한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 상반기 협의회를 개최했다.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협의체’란 진주교육지원청의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과 협력하는 지역 유관 기관의 네트워크 조직을 말한다. 진주시의 아동·청소년 지원 부서,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 진주시 아동보호전문기관, 진주시 가족센터, 진주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사회복지관, 가정·성 관련 상담소, 경남서부해바라기센터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2023년 학생맞춤통합지원 시범 사업 시작 당시 12개 기관이 참여하였고 2025년 현재 30개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지역협의체는 학교에서 발견된 복합위기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청소년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여 아동·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대상자 인원은 2023년 19명, 2024년 21명, 2025년 12명(7월 초)이며 학교, 지원청, 지역기관이 참여하는 통합사례회의는 3년 동안 총 82회가 열렸다. 지원 영역은 기초학력·진로, 심리정서, 안전·돌봄, 경제·복지, 다문화·특수이며 학생 개개인의 어려움 진단에 따라 지원청의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거나 지역 기관의 전문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
이 날 협의회는 ▲참여 기관 소개 ▲온-진주 학생맞춤통합지원 소개 ▲복합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지역 협력 사례 소개 ▲학생맞춤통합지원 협력 방안 협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학생맞춤통합지원 법률과 정책 내용을 이해하고, 복합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과 기관별 역할을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진주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안서현 센터장은 “우리 학생들에게는 학습, 정서, 행동, 경제, 취약한지지 체계 등에서 다양한 위기 상황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학교와 지역이 함께 협력해 나갔던 3년의 노력을 계속 해서 이어나가자”고 당부했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상남도 진주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김연희 주무관(☎74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