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

  • 글쓰기는 기관(학교)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해야 하며, 아이디에 대한 문의는 해당 학교 행정실 및 기관 전산담당 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도자료 게시 방법 : 파일 내려받기
    • 보도자료 게시 방법에 따르지 않은 게시물은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 이 게시판의 게시글 공개기한은 게시일로부터 3년입니다

고등학교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기관명(부서) 마산무학여자고
  • 등록일시 2023-06-13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1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2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3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4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5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6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7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8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9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10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11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 관련이미지12

마산무학여고, 3.15 의거 유적지 답사로 자유·민주·정의의 가치 되새겨

무학여자고등학교(교장 조범규)는 6월 10일 토요일 1, 2학년 희망자 40명을 대상으로 민주 성지 마산 지역의 ‘3.15 의거 청소년 유적지 답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3.15 의거 청소년 유적지 답사’에서는 4.19 혁명의 실마리가 된 3.15 의거를 지역사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3.15 의거’가 가지는 위상을 재고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3.15 의거-4.19 혁명-6월 민주 과정에서 희생한 민주 열사들과 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을 확인하고 추모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지역인으로서의 애향심과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15 의거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는 강정석 교사(무학여중)


첫 일정이었던 국립 3.15 민주 묘지에서 학생들은 3.15 의거 관련 영상을 시청하고 당시 시대적 배경에 대한 계기 교육을 받았다. 이어서 민주 열사들의 묘역을 방문하여 참배를 진행하였다. 해당 과정에서 학생들은 묘역 주변에 웃자란 잡초를 제거하고 비석을 닦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민주 영령에게 참배를 올리는 무학여고 학생들


마산 3.15 민주 묘역의 비석을 닦는 무학여고 학생들


이어 김주열 열사의 흉상이 위치한 마산용마고등학교, 3.15 의거 발원지 기념관, 남성동 파출소, 3.15 의거탑 및 총격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지역의 민주 역사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에서 ‘껍데기는 가라’는 시를 낭송하고 4.11 민주 항쟁이 어떻게 4.19 혁명으로 발전되었는지 학습했다.


‘껍데기는 가라’ 시 낭송을 주도하는 무학여고 학생


이번 유적지 답사에 참여한 담당 교사(한국사 교사 김관수)는 “학생들이 고향 마산에 자부심을 가지고 나아가 자유, 민주, 정의라는 3.15 정신을 체화할 수 있었으면 한다”라는 의견을 전했다. 답사 활동에 참여한 1학년 박소현 학생은 “헌법 정신으로 남겨진 4.19 민주 정신이 3.15라는 마산 시민의 노력과 희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에 큰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평소 교육 분야에 관심이 많은데 지역의 역사를 많은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마산 무학여고에서는 차후 심화 답사로서 김주열 열사의 고향인 남원을 방문하여 묘역에 참배하고, 광주 지역의 민주화 운동사를 학습·답사할 예정이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4